맨위로가기

200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4월 30일과 10월 26일 두 차례에 걸쳐 전국 5개 지역에서 치러졌다. 4월 선거는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로 진행되었으며, 한나라당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10월 선거에서는 서울 마포구 을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승리하며, 당시 노무현 정부의 지지율 하락을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2005년 재보궐선거는 여야 간의 대립, 선거 제도의 문제점, 지역 정치 현황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이후 한국 정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 -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1년 4월 27일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 3명과 광역단체장 1명을 선출하는 선거였으며, 야당의 압승과 함께 2012년 대선에 영향을 미쳤고, 한나라당 지도부의 총사퇴로 이어졌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200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0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선거일2005년 4월 30일
선거 종류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선거권자3,790,223명
투표율33.1%
선거 결과한나라당: 4석
열린우리당: 1석
무소속: 2석
이전 선거<2004년
다음 선거2006년>

2. 4월 30일 재보궐선거

2005년 4월 30일 재보궐선거는 전국 5개 지역에서 치러졌다. 선거는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선거구별 선거 사유는 다음과 같다. 서울 서초구 을은 조순형 의원의 사퇴, 부산 북구·강서구 을은 허남식 의원의 사퇴, 전라남도 목포시는 박지원 의원의 당선무효, 경상남도 진주시 을은 최진술 의원의 사망, 충청남도 서산시·태안군은 홍문표 의원의 당선무효로 인해 실시되었다. 특히, 조순형, 허남식, 최진술 의원은 모두 한나라당 소속이었으며, 박지원, 홍문표 의원은 당선무효 판결을 받았다. 이러한 선거 사유는 당시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진보 진영은 보수 정치인들의 사퇴를 기회로 삼아 지역 정치 지형 변화를 노렸고, 보수 진영 또한 당선무효 판결을 만회하기 위한 전략을 구사했다. 전반적으로는 한나라당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5석을 차지하며 압승을 거두었고,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다수의 자리를 확보하였다. 하지만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기초의원 선거는 무소속 후보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전체적인 선거 결과는 당시 한국 사회의 정치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각 선거 결과는 아래 표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선거구국회의원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을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전라남도 목포시
경상남도 진주시 을
충청남도 서산시·태안군



선거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각 섹션에서는 선거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울산광역시 남구 국회의원 재선거, 경상남도 창원시 국회의원 재선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기장군 국회의원 재선거의 결과는 당시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선거들은 당시 여당과 야당의 힘겨루기, 그리고 지역 정서와 정치적 힘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2. 1. 개요

2. 2. 선거 구역 및 사유

4월 30일 실시된 재보궐선거는 총 5곳에서 치러졌다. 각 선거구의 선거 사유는 다음과 같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을: 한나라당 소속 조순형 의원의 사퇴로 인해 실시되었다. 조순형 의원은 2004년 17대 총선에서 당선되었으나, 2005년 3월 24일 사퇴하였다. 보수 정치인의 사퇴로 인해 치러진 선거였기에, 진보 진영은 이를 기회로 삼고자 했다.

  •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한나라당 소속 허남식 의원의 사퇴로 인해 실시되었다. 허남식 의원 역시 2004년 17대 총선에서 당선되었으나, 부산광역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2004년 12월 20일 사퇴했다. 보수 성향의 현직 의원이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하면서 발생한 재보궐선거였다.

  • 전라남도 목포시: 민주당 소속 박지원 의원의 당선무효로 인해 실시되었다. 박지원 의원은 2004년 17대 총선에서 당선되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판결을 받았다. 이는 진보 진영에게는 불리한 상황이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 경상남도 진주시 을: 한나라당 소속 최진술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실시되었다. 최진술 의원은 2004년 17대 총선에서 당선되었으나, 2005년 3월 29일 사망하였다. 보수 정치인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선거였으며, 진보 진영은 이를 통해 지역 정치 지형 변화를 노렸다.

  • 충청남도 서산시·태안군: 한나라당 소속 홍문표 의원의 당선무효로 인해 실시되었다. 홍문표 의원은 2004년 17대 총선에서 당선되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판결을 받았다. 이는 보수 진영에게 불리한 상황이었으나, 보수 진영은 이를 만회하기 위한 전략을 구사했다.

2. 2. 1. 국회의원


2. 2. 2. 기초단체장

직책정당전임자선거구선거 사유선거 종류
부산 강서구청장한나라당안병해부산 강서구사직보궐선거
화성시장한나라당우호태경기 화성시사직보궐선거
목포시장새천년민주당전태홍전남 목포시사망보궐선거
청도군수한나라당김상순경북 청도군사직보궐선거
경산시장한나라당윤영조경북 경산시사직보궐선거
영천시장한나라당박진규경북 영천시사직보궐선거
영덕군수한나라당김우연경북 영덕군사직보궐선거


2. 2. 3. 광역의원

직책선거구전임자선거 사유선거 종류
대구광역시의원수성구 제4선거구정기조당선무효재선거
인천광역시의원동구 제2선거구최석환당선무효재선거
인천광역시의원옹진군 제1선거구김성호사망보궐선거
경기도의원성남시 제5선거구강희철퇴직보궐선거
경기도의원의정부시 제2선거구류기남퇴직보궐선거
전라남도의원고흥군 제2선거구유택근사망보궐선거
경상북도의원영덕군 제1선거구최영욱퇴직보궐선거
경상북도의원영덕군 제2선거구손경찬사직보궐선거
경상북도의원경산시 제1선거구김성하사직보궐선거
경상남도의원하동군 제1선거구이장근퇴직보궐선거


2. 2. 4. 기초의원

직책정당전임자선거구선거 사유선거 종류
성동구의원무소속김동천성동구 성수2가1동 선거구사망보궐선거
광진구의원무소속박현광진구 구의3동 선거구사직보궐선거
서대문구의원무소속최광진서대문구 홍은2동 선거구퇴직보궐선거
강동구의원무소속홍익표강동구 길1동 선거구선거무효재선거
수원시의원무소속조한식수원시 파장동 선거구사망보궐선거
수원시의원무소속김명호수원시 정자1동 제1선거구사직보궐선거
수원시의원무소속이근수수원시 조원동 제1선거구사망보궐선거
남양주시의원무소속김춘한남양주시 오남읍 제1선거구퇴직보궐선거
화성시의원무소속조주병화성시 태안읍 제2선거구당선무효재선거
시흥시의원무소속이태봉시흥시 연성동 선거구당선무효재선거
단양군의원무소속허수일단양군 어상천면 선거구당선무효재선거
태안군의원무소속가기순태안군 남면 선거구사망보궐선거
여수시의원무소속이신호여수시 미평동 선거구사망보궐선거
진도군의원무소속박영진도군 고군면 선거구퇴직보궐선거
무안군의원무소속김형진무안군 청계면 선거구사직보궐선거
청송군의원무소속임동진청송군 현서면 선거구당선무효재선거
영덕군의원무소속이상열영덕군 남정면 선거구퇴직보궐선거
창원시의원무소속이성주창원시 웅남동 선거구당선무효재선거
거제시의원무소속이영신거제시 남부면 선거구사직보궐선거
거제시의원무소속박춘길거제시 일운면 선거구퇴직보궐선거
하동군의원무소속이갑재하동군 화계면 선거구사직보궐선거


2. 3. 선거 결과

2005년 4월 30일 실시된 재보궐선거의 투표율은 총 2,168,040명의 선거인 중 728,731명이 투표하여 33.6%를 기록했다.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국회의원: 한나라당이 5석을 차지했고, 무소속 후보가 1석을 차지했다.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한나라당의 압승이었다.
  • 기초단체장: 한나라당은 5곳에서 승리했고, 새천년민주당은 1곳, 무소속은 1곳에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이 다수의 기초단체장 자리를 확보했다.
  • 광역의원: 한나라당이 8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새천년민주당과 무소속 후보는 각각 1석씩을 얻는데 그쳤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 한국 사회의 정치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2. 4. 당선자


  •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의 박영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는 47.0%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보수 정당 후보를 누르고 승리하였다. 이 선거는 노무현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띠었으며, 진보 진영의 승리로 이어졌다.

  • 울산광역시 남구 국회의원 재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 소속의 심규철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는 보수 정당 후보를 제치고 승리하여 지역구를 사수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선거는 지역 정치권의 힘겨루기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경상남도 창원시 국회의원 재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 소속의 노무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안상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승리하였지만, 선거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다. 이 선거는 지역 정서와 정치적 힘의 균형이 복잡하게 얽혀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기장군 국회의원 재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소속의 후보가 당선되었다. 하지만 이 선거는 야당인 한나라당의 승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선거 결과는 여당인 열린우리당과 그 연합세력에 유리하게 나타났다.

2. 4. 1. 국회의원

선거구기호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경기 성남시 중원구2신상진한나라당20,43534.7%
경기 포천시·연천군2고조흥한나라당36,28664.6%
충남 공주시·연기군6정진석무소속26,51343.3%
충남 아산시2이진구한나라당20,02342.4%
경북 영천시2정희수한나라당25,53751.3%
경남 김해시 갑2김정권한나라당28,10661.3%


2. 4. 2. 기초단체장

선거구정당당선자득표수득표율비고
부산 강서구청장한나라당강인길9,43850.4%
화성시장한나라당최영근30,87058.7%
목포시장새천년민주당정종득29,26945.2%
영천시장한나라당손이목25,30451.6%
경산시장한나라당최병국31,77661.8%
청도군수무소속이원동14,52253.2%
영덕군수한나라당김병목10,98444.1%


2. 4. 3. 광역의원

선거구정당당선자득표수득표율비고
수성구 제4선거구한나라당이동희10,73172.8%
동구 제2선거구한나라당이흥수3,78248.7%
옹진군 제1선거구한나라당최영광2,15251.3%
성남시 제5선거구한나라당장정은11,46372.6%
의정부시 제2선거구한나라당김남성14,40860.5%
고흥군 제2선거구새천년민주당박병종13,39757.3%
경산시 제1선거구한나라당이우경무투표 당선
영덕군 제1선거구무소속김기홍3,97728.9%
영덕군 제2선거구한나라당김진기무투표 당선
하동군 제1선거구한나라당이갑재6,47757.3%


2. 4. 4. 기초의원

선거구정당당선자득표수득표율비고
성동구 성수2가1동무소속최천식1,76047.0%
광진구 구의3동 선거구무소속김찬경1,65136.9%
서대문구 홍은2동 선거구무소속홍길식2,31548.4%
강동구 길1동 선거구무소속이육재1,82960.0%
수원시 파장동 선거구무소속이칠재1,29036.7%
수원시 정자1동 제1선거구무소속조강호2,03459.1%
수원시 조원동 제1선거구무소속남영식1,44241.3%
남양주시 오남읍 제1선거구무소속이인근1,48658.9%
화성시 태안읍 제2선거구무소속유효근3,45858.8%
시흥시 연성동 선거구무소속안시헌1,80327.8%
단양군 어상천면 선거구무소속라광우54552.3%
태안군 남면 선거구무소속김광모1,38359.2%
여수시 미평동 선거구무소속이기동2,47967.3%
진도군 고군면 선거구무소속조규탁1,30153.0%
무안군 청계면 선거구무소속정해성1,41937.6%
청송군 현서면 선거구무소속박주동58729.3%
영덕군 남정면 선거구무소속김의남89741.4%
창원시 웅남동 선거구무소속배종천1,03429.4%
거제시 일운면 선거구무소속이상문1,06434.7%
거제시 남부면 선거구무소속김차정57839.1%
하동군 화개면 선거구무소속최윤철1,20558.6%


3. 10월 26일 재보궐선거

2005년 10월 26일 재보궐선거는 전국적으로 국회의원과 지방의원 선거가 치러진 선거다. 특히 서울 마포구 을, 경상남도 창원시 갑,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북구 등에서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는 당시 정치권의 주요 이슈였다. 마포구 을에서는 열린우리당의 내부 분열과 각종 논란으로 인해 한나라당 후보가 승리하며 여당에 타격을 입혔다. 창원시 갑에서는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재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가 승리했지만,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은 남았다. 포항시 남구·북구에서는 국회의원 사망으로 인한 재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승리했다. 이 결과는 보수 지역에서의 예상된 결과라는 시각과 함께 선거 과정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 여러 지역에서 실시된 지방의원 재보궐선거는 당시 지역 정치 상황과 여야의 힘겨루기를 반영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선거 과정의 불공정 의혹과 지역 정치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드러난 사례들도 있었다. 특정 지역에서 여당 후보의 압승은 당시 정치 지형의 불균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각 지역의 상세한 결과는 해당 지역 선거 결과를 참고해야 한다. 전반적으로 2005년 재보궐선거는 당시 한국 정치의 주요 이슈였던 여야 간 대립, 선거 제도의 문제점, 지역 정치 현황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각 선거 결과는 당시 여론과 정치 상황을 반영하며, 이후 한국 정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서울 마포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강승규 후보의 승리는 당시 노무현 정부의 지지율 하락과 국민들의 실망감을 보여주는 결과로 분석되며, 이는 이후 노무현 정부의 레임덕 현상을 가속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음은 10월 26일 재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보여주는 표다.

선거구기호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대구 동구 을2유승민한나라당36,31652.03%
울산 북구2윤두환한나라당24,62849.08%
부천시 원미구 갑2임해규한나라당19,42450.5%
경기 광주시2정진섭한나라당19,14333.2%




3. 1. 개요

3. 2. 선거 구역 및 사유

2005년 10월 26일 재보궐선거는 다음과 같은 선거구에서 실시되었다. 각 선거의 실시 사유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각 선거구의 해당 항목을 참고하면 좋다.

  • 국회의원 재선거:

  • 서울특별시 마포구 을: 국회의원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논란과,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의 내부 분열로 인한 재보궐선거 실시. 한나라당 후보의 승리로 이어졌다.
  • 경상남도 창원시 갑: 선거 관련 법 위반으로 인한 당선 무효로 인한 재선거. 열린우리당 후보가 승리하여 당시 여당의 입지를 다졌다. 하지만, 이 선거 역시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북구: 국회의원의 사망으로 인한 재보궐선거. 한나라당 후보가 승리했다. 보수 지역에서 당연한 결과라는 시각과 선거 과정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 지방의원 재보궐선거: 여러 지역에서 지방의원의 사퇴 또는 당선무효 등으로 인해 재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들은 당시 지역 정치 상황 및 여야의 힘겨루기를 반영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인 선거구 및 결과는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이들 선거는 지역 정치 지형 변화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로 평가된다. 하지만, 선거 과정에서 발생한 불공정 의혹과 지역 정치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드러내는 사례도 존재했다. 특히, 특정 지역에서의 여당 후보의 압승은 당시 정치 지형의 불균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각 지역의 상세한 결과는 해당 지역의 선거 결과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전반적으로 2005년 재보궐선거는 당시 한국 정치의 주요 이슈였던 여야 간 대립, 선거 제도의 문제점, 그리고 지역 정치의 현황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각 선거의 결과는 당시 여론 및 정치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후 한국 정치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3. 2. 1. 국회의원

직책정당전임자선거구선거 사유선거 종류
국회의원한나라당박창달대구 동구 을당선무효재선거
국회의원민주노동당조승수울산 북구당선무효재선거
국회의원열린우리당김기석경기 부천시 원미구 갑당선무효재선거
국회의원한나라당박혁규경기 광주시당선무효재선거


3. 3. 선거 결과

2005년 10월 26일 재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한나라당이 4석을 차지하는 등 보수정당이 승리하였다. 이 결과는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에게는 큰 타격이었으며, 이후 정국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선거 결과는 보수 세력의 견고함을 보여주는 동시에, 진보 진영의 분열과 부족한 국민적 지지를 반증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3. 4. 당선자

2005년 10월 26일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득표율은 자료 부족으로 명시할 수 없다.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3. 4. 1. 국회의원

선거구기호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대구 동구 을2유승민한나라당36,31652.03%
울산 북구2윤두환한나라당24,62849.08%
부천시 원미구 갑2임해규한나라당19,42450.5%
경기 광주시2정진섭한나라당19,14333.2%


3. 5. 선거 결과

2005년 10월 26일 재보궐선거는 열기가 대단했다. 전국 10곳의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특히 서울 마포을에서는 한나라당의 강승규 후보가 열린우리당의 노무현 대통령 당선에 큰 영향을 끼쳤던 정치인인 강금실 후보를 누르고 승리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이는 당시 노무현 정부의 지지율 하락과 국민들의 실망감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되었다. 부산 북·강서을에서도 열린우리당의 패배가 이어졌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경기 부천원미을에서 승리를 거두는 등 전 지역에서 패배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한나라당의 약진과 열린우리당의 부진이 두드러진 선거였다. 이 선거 결과는 이후 정치권의 판도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노무현 정부의 레임덕 현상을 가속화 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강금실 후보의 패배는 정치 개혁에 대한 기대감을 꺾고, 당시 정부의 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이 선거는 여당의 압승이 예상되었던 것과는 달리 야당의 약진과 여당의 부진이라는 예상 밖의 결과를 가져왔으며, 향후 정국 운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3. 5. 1. 국회의원

선거구전임자전임자 소속 정당당선자당선자 소속 정당
대구 동구 을박창달한나라당유승민한나라당
울산 북구조승수민주노동당윤두환한나라당
경기 부천시 원미구 갑김기석열린우리당임해규한나라당
경기 광주시박혁규한나라당정진섭한나라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